금자씨처럼 어렵고 복잡한 영화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가볍지는 않은 영화.
오히려 사람들 입맛에는 금자씨보다 훨씬 잘 맞을 영화다.
남북한 문제를 그린 영화는 쉬리, JSA를 시작으로 많이 쏟아져 나왔지만,
남남북녀, 동해북과 백두산과 같이 할말을 잃게 만드는 영화가 대부분이였다.
하지만 동막골은 JSA와 시작점은 같지만
JSA처럼 아름다운 곡선을 그리는게 아니라, 오히려 직선적이고 시원한 맛.
그렇기에 어렵지 않고 복잡하지 않다. 그리고 재밌는 영화다.
태극기 휘날리며에서도 전쟁의 느낌을 살리기 위해서 헬 핸드를 쓰거나
일부로 카메라를 흔들리게 촬영했다. 동막골에서도 헬 핸드를 적절히 이용하는데
전쟁을 피해 동막골로 들어온후에도 남북한 대립장면에서 헬 핸드를 고수한다.
그리고 화합이 되면서 카메라를 고정시켰...나? 사실은 확실히는 기억안난다;
남북한의 총부리 사이에서 천진했던 동막골 사람들, 그리고 여일이.
이렇게 참을수 없이 웃겨서 극장을 뒹굴고 만드는 상황 설정과
정의감에 불타는 인물, 현실적인 인물, 정이 많은 인물같은 캐릭터 배열.
이렇게 영화가 흘러가니 왠지 이건 장진 느낌인데 하고 생각했었다.
알고 보니 친구 말로는 이건 연극 작품이고 포스터에 각본 장진이라고
표기되어 있었다. 장진 느낌은 도저히 숨길수가 없는 법이니까.
아, 그리고 엔딩 문제.
항상 생각하는 바지만 꼭 모두를 죽인다고 여운이 남는건 아니라고 생각한다.
러브액츄얼리에서처럼 마지막에 씬을 하나 추가해서 충분히 헤피엔딩이라도
여운을 남길수 있지 않을가? 감독이 정말 살얼음판 같은 세상에서
평화로운 동막골로 사람들을 초대하고 싶었다다면 원작에 충실하기 보다는,
현실에 충실하기 보다는 좀 더 픽션 적인 요소를 가미해도 괜찮지 않았을까?
스미스가 어찌어찌해서 폭격을 막고 남북한 군인들이 동막골에 정착하게 되고
그것을 바라보는 지긋히 바라보는 김 선생의 뒷 모습을 담는다.
그리고 촌장과의 대화. 선생님도 여기 오신지 얼마 안 되셨는데
이렇게 환영하는 입장이 되시네요 하며 김선생이 준 무공훈장을 만지작거린 촌장.
이런 식의 마무리였다면 포스터처럼 처음 극장에 들어올때처럼
평화롭게 극장을 나설수도 있었을텐데 말이다.
ps, 난 정말 잔인한 영화는 딱 질색이다. 현실성을 담기 위해서 어쩔수 없이
전쟁 장면을 넣고 좀더 사실적으로 묘사하기 위해서 그렇게 했겠지만,
진짜 잔인한 건 싫다.